코린이 비트코인 차트 읽기 연습. < 다이버전스 & 전저점, 전고점, 지지, 저항 >
코린이의 비트코인 차트 읽기 연습.
아직 코인을 한지 얼마 안 된 코린이로써 비트코인의 매력을 느껴서 선물 매매를 하게 되었습니다.
비트코인 트레이딩을 연습삼아 일기 형식으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주식할때에 차트를 보고 기술적 분석으로 매매를 많이 했었습니다.
물론 주식에서는 해당 기업의 가치도 같이 보긴 했었지만,
비트코인에서는 코인의 가치라는 부분도 물론 중요하게 작용하겠지만,
심리적인 요인이 많이 작용한다는 것을 듣고 느껴보았기 때문에 기술적 분석을 많이 공부 중입니다.
이것을 제가 배우고 느낀 대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틀리거나 안 맞다고 생각하시면 지적해 주시면 배우는 마음으로 듣겠습니다. :)
1. 지지와 저항 (전고점)
먼저 비트코인 / 테더 바이낸스 4시간 봉 차트입니다.
이 차트는 트레이딩뷰에서 제가 작도한 전고점 혹은 중요하게 저항(지지)을 한다고 생각했던 곳들을 표시한 것입니다.
하늘색라인은 작년에 하락하면서 만들어 줬던 고점을 쭉 이어보았습니다.
그리고 노란색으로 위아래 선을 그어놓은 것은 추세선으로 사용 중입니다.
비트코인이 현재 상승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겠네요.
하늘색라인
흰색 동그라미로 표시를 했는데 2월 중순쯤엔 저항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항을 주고 하락을 한 뒤에 3월엔 상승하여 저항선을 깨고 올라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 6월엔 약간 이탈하긴 했지만 바로 들어오면서 지지역할도 한 것을 볼 수 있네요.
이렇게 상승하면서 생긴 저점과 새로 생긴 고점을 연결해서 만든 것이 저 노란색 추세라인입니다.
그다음엔 1시간 봉입니다.
위에서는 장기적인 추세의 지지, 저항을 주었던 라인을 보았고,
이번엔 1시간 봉으로 조금 더 단기적인 지지, 저항라인을 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5월에 생긴 고점라인과 고점에서 내려오면서 중요하게 저항을 주었던 라인 두 개를
자주색라인으로 표시를 해봤습니다.
6월, 7월로 오면서 위아래로 고점라인을 넘어서기도 하고, 지지라고 생각했던 라인도 넘어서고 했는데
그래도 지지 저항을 추가로 해주면서 박스권을 만들어 주었네요.
박스권이라고 보여도 저 라인들을 벗어났을 때에는 지켜보기만 하고 매매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라인을 뚫었을 때에는 더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상방으로 이탈하고 상승분에 대한 조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다시 박스권 안쪽으로 들어온다면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고,
박스권 상단라인까지 온다면 매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지 않을까 합니다.
현재의 추세가 상승 추세에 있는 만큼 상승했으면 하네요 :)
2. 다이버전스
다이버전스는 가격과 보조 지표가 반대 방향을 가리킬 때 상승 혹은 하락 다이버전스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상승다이버전스 - 가격은 하락하는데 보조 지표는 상승할 때
하락다이버전스 - 가격은 상승하는데 보조 지표는 하락할 때
저는 이것을 보통 추세의 전환점을 찾을 때 많이 사용하는데요.
잘 몰랐을 때는 낮은 분봉에서도 매매했었는데,
낮은 분봉에서는 다이버전스가 발생해도 무시해 버리고 상승 혹은 하락을 그대로 해버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최소 1시간 봉, 4시간 봉에서 발생한 다이버전스를 신뢰도가 높게 보고 있습니다.
아래의 차트는 위의 지지, 저항에서 나왔던 부분입니다.
맨 밑에 보이는 노란색 라인들은 RSI라고 하는 상대강도 지수입니다.
많이 매수하면 선이 올라가고, 많이 매도하면 선이 내려간다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이 차트에서 가격은 하락하고 있고, RSI(상대강도지수)는 상승하고 있습니다.
가격은 떨어지는데 사람들은 매수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 가격이 떨어지는 힘이 약해지겠고, '곧 추세가 상승할 수 있겠다'라고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상승다이버전스'입니다.
이번에는 가격은 상승하는데 RSI(상대강도지수)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위와 반대로 가격은 상승하지만 많이 매도하고 있다는 뜻이니
상승의 힘이 약해지겠습니다.
추세의 전환을 예상할 수 있겠네요.
하지만!!!
이렇게 하락 다이버전스가 발생했음에도 하락하지 않고 상승할 때도 있습니다.
다이버전스는 봉이 완성되어야 발생하는 후행성 지표이기도 하고,
강한 상승장, 강한 하락장에서는 다이버전스가 발생해도 무시해 버리고 상승 혹은 하락해버리는 경우가 많으니
충분히 지켜보고 매매하는 게 좋겠습니다.
여기까지 제가 매매하면서 공부했던 지지, 저항과 다이버전스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직 6개월밖에 안된 코린이어서 잘못알수도 있으니
잘못된 것이 있다면 지적 혹은 수정할 수 있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배우는 입장으로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아직 잃기만 하고, 수익이 없는 코린이 입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